청동 주물(Bronze CASTING) - BC
내식성, 내 유압성, 내해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일반 기계부품, 선박, 전기, 기계구조용으로 주로 사용
BC 3000년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지만, 이것을 가공하여 제품을 만든 것은 훨씬 나중에 일반화되었다. 호메로스의>일리아스 llias<를 보면, 그리스의 불의 신인 헤파이스토스가 용광로에 구리 주석 은 금 등을 넣어 아킬레스의 방패를 만드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청동기 유물을 살펴보면 67~95%의 구리를 사용하는 등 구리와 주석의 비는 매우 다양했지만, 중세에는 특정 효과를 나타내는 비율로 사용되었다. 베네치아의 도서관에 소장된 11세기 그리스어 필사본에 묘사된 합금은 구리와 주석의 비가 8:1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나중에 청동포금(靑銅砲金)에 사용된 비율과 비슷하다.
청동은 구리보다 더 단단할 뿐만 아니라 보다 쉽게 용융되므로 주조하기 용이하며, 순수한 철보다 더 단단하므로 합금의 성질을 잘 이용하면 포신이나 기계의 베어링 등에 적합하다. 역사적으로 도구나 무기를 만들 때 청동 대신 철을 사용한 이유는 철 고유의 장점 때문이라기보다는 구리와 주석에 비해 철이 풍부했기 때문이다. 두드릴 때 소리가 울리는 것이 특징인 종동은 주석이 25~44% 정도로 많이 함유된 청동이다. 조상용 청동은 주석이 10%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때로는 주석과 납을 첨가하기도 한다. 주석은 경도를 증가시키므로 베어링 메탈에는 주로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 청동은 소량의 인을 첨가해 품질과 강도를 향상시키기도 하는데, 이 인천동은 1~2%의 소량의 인이 첨가되지만, 펌프 플런저와 같은 장치의 강도를 높여준다. 망간청동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주석이 거의 함유되지 않는 반면 아연과 망간은 상당한 양이 함유된다. 청동은 무기와 도구 이외에도 화폐주조에 널리 사용된다. ‘동전’화폐는 대부분 약 4%의 주석과 1%의 아연이 함유된 청동이다.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가공해낼 수 있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많이 쓰였으며 이 합금에 대한 범용성을 대대적으로 어필, 연금술에서 갈라져 나온 야금술이 세력을 확실히 굳히게 만든 흑막이다.
